노벨상 위원회가 밝힌 "한국 출신 수상자 3명"

2024. 10. 16. 05:00The Citing Articles

DJ·한강 말고 또 있다…노벨위원회 "한국 출신 수상자 3명"

 

중앙일보
입력 2024.10.15 18:56
업데이트 2024.10.15 19:38

채혜선 기자 

198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찰스 피더슨(맨 왼쪽), 2000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김대중 전 대통령, 작가 한강. 사진 노벨상홈페이지, 김대중 평화센터, 뉴스1.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노벨상 측이 한국 출신 수상자를 2명이 아닌 3명으로 표시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 출신 노벨상 수상자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2000년 평화상)과 작가 한강(2024년 문학상)뿐이었다.

15일 노벨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한국 출신 수상자는 3명으로 등재돼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 찰스 피더슨. 사진 노벨상 홈페이지

첫 번째 주인공은 198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찰스 J 피더슨이다. 노벨상 홈페이지 수상자 설명에 따르면 그는 대한제국 시절인 1904년 10월 부산에서 태어났다. 노르웨이 출신 선박 기술자였던 아버지가 한국에서 일하다가 일본인 여성을 만나 피더슨을 낳았다. 피더슨은 8세 때까지 한국에 살다 일본으로 건너갔고, 미국 대학에 진학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석사 학위를 딴 피더슨은 미국 듀폰사의 잭슨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중 유기화합물 ‘크라운 에테르’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탔다. 수상 당시 피더슨의 국적은 미국이었지만, 노벨위원회는 그를 한국 태생으로 분류했다. 국적이 아닌 출생지를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노벨상을 만든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은 ‘후보자 국적을 고려하지 말고 상을 주라’는 유지를 남겼다. 노벨위원회는 홈페이지에 수상자 국적이 아닌 출생지와 소속기관, 수상 이유 등을 밝히고 있다.

실제 한국인 첫 수상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김 전 대통령은 대통령 재임 중 2000년 노벨 평화상을 받아 한국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이로부터 24년 만인 올해 이달 10일 한강은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강 노벨문학상

최신 기사

문학관도 기자회견도 거부한 한강…문학계에선 "놀랍지 않다"
2024.10.15 16:42

"부잡시로운 딸이 훔쳐봤다"…한강 부친의 '5·18 사진첩' 이야기
2024.10.15 15:32

한강 책, 군대에서는 못 본다…심사 번번이 탈락하는 이유
2024.10.15 08:32

 


김경진 기자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DJ·한강 이전에도 있었다… 노벨상 위원회가 밝힌 첫 한국 출신 수상자는?

 

조선 일보

이혜진 기자

입력 2024.10.15. 13:54업데이트 2024.10.15. 15:35

 

198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찰스 J. 피더슨(왼쪽부터), 2000년 노벨 평화상을 받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가 한강. /노벨위원회 홈페이지, 게티이미지코리아

 

한강 작가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가 된 가운데, 노벨상 홈페이지에는 이들보다 먼저 ‘한국 출신 수상자’로 기록된 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8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찰스 J. 피더슨이 그 주인공이다.

15일 노벨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한국 출신 수상자는 3명으로 표시돼 있다. 첫 번째 수상자는 1904년 10월 부산에서 태어나 1987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피더슨이다. 당시 그는 고선택성 상호작용을 갖는 분자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공로로 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노벨위원회는 후보자의 국적을 고려하지 말고 상을 주라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지를 따라 노벨위원회 홈페이지에 수상자의 국적이 아닌 출생지와 소속기관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더슨 역시 한국에서 출생한 이유로 한국 출신으로 분류됐다.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피더슨의 부친은 노르웨이 출신 선박 기술자로, 한국에서 일하던 중 일본인 여성을 만나 부산에서 피더슨을 낳았다. 피더슨은 8살 때까지 한국에 살다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데이튼대에 진학해 화학 공학과를 졸업했고,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듀폰사의 잭슨 연구소에 취직해 은퇴할 때까지 42년간 연구원으로 일했다. 박사 과정에 진학하라는 지도교수의 권유에도 부모의 지원으로부터 일찍 독립하고 싶어 공부 대신 취업을 택했다고 한다.

그는 ‘크라운 에테르’라는 유기화합물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수상 당시 피더슨의 국적은 미국이었지만 노벨위원회는 국적이 아닌 출생지를 기준으로 그를 한국 태생으로 분류했다. 그는 노벨상을 수상한 후 2년만인 1989년 별세했다.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시민들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의 책을 구입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뉴스1

 

한국인으로 첫 노벨상을 수상한 이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김 전 대통령은 재임 중이었던 2000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 특히 북한과의 평화와 화해에 기여한 공로로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됐다”고 발표했다. 김 전 대통령은 수상 소감에서 “오늘의 영광은 국민들이 지난 40년 동안 민주주의와 인권, 남북 간 화해와 협력을 지지해 준 덕분”이라고 했다.

한강은 202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강은 아시아 여성 작가 최초이자 한국 첫 노벨 문학상 수상자가 됐다. 스웨덴 한림원은 “트라우마를 직시하고 인간 삶의 연약한 면을 강력하고 명료한 문체로 표현했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그는 1980년 광주를 다룬 ‘소년이 온다’(2014), 제주 4·3 사건을 다룬 ‘작별하지 않는다’(2021) 등의 소설을 쓰면서 역사와 트라우마의 문제에 천착했다. 2007년 작 소설 ‘채식주의자’로 2016년 한국인 최초로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한 뒤 세계적인 반열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대해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들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 신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현대 산문의 혁신가가 되었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