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재야' 장기표 별세…국회의원 특권폐지 등 앞장

2024. 11. 22. 01:29The Citing Articles

'영원한 재야' 장기표 별세…국회의원 특권폐지 등 앞장

신정은2024. 9. 22. 09:56

 

전태일 분신 계기로 민주화·노동운동 투신
제도권 정치 입문엔 실패

▲ ‘영원한 재야’ 장기표 원장.연합뉴스 자료 사진

 

‘영원한 재야’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이 22일 별세했다.

유족 등에 따르면 장 원장은 담낭암 투병 끝에 이날 오전 1시 35분쯤 입원 중이던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78세.

고인은 두 달여 전인 지난 7월 16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건강 상태가 매우 안 좋아 병원에서 진찰받은 결과 담낭암 말기에 암이 다른 장기에까지 전이돼 치료가 어렵다는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러 어려운 사정에서도 물심양면의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기대에 부응하기는커녕 갑자기 죽음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전하게 되어 정말 죄송하다”고 했다.

1945년 경상남도 밀양에서 4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난 고인은 마산공고를 졸업하고 1966년 서울대 법학과에 입학했으나 전태일 열사의 분신 사건을 계기로 학생운동과 노동 운동에 투신하면서 1995년에야 졸업했다.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을 시작으로 민청학련사건, 청계피복노조 사건, 민중당 사건 등으로 9년간 수감 생활을 하고 12년간 수배 생활을 하는 등 1970~80년대 수 차례 투옥과 석방을 거듭했고, 12년간 수배 생활을 했다.

숱한 수감·도망 생활에도 민주화 운동에 따른 보상금을 일절 수령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19년 한 언론 인터뷰에서 “나는 국민 된 도리, 지식인의 도리로 안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1970년 전태일 사후에는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인 이소선 여사와 만나 시신을 인수하고 서울대 학생장으로 장례를 치르는 데 앞장섰다. 이후 전태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조영래 변호사에게 전달해 ‘전태일 평전’을 만드는 데 기여했고, 2009년에는 전태일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지냈다.

고인은 이 여사와는 한동안 도봉구 쌍문동 같은 동네에 살며 노동운동을 도왔다.

이 여사는 세상을 떠나던 2011년 “기표는 내가 만난 사람 중에 가장 진실하고 바르게 살려는 첫 사람이자 나에게는 영원한 스승이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1980년대부터 재야운동의 핵심 세력으로 떠오른 그는 1984년 10월 문익환 목사를 의장으로 종교인, 변호사, 퇴직 언론인 등이 참여하는 민주통일국민회의(국민회의)를 창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국민회의와 민중민주운동협의회(민민협)의 통합을 이끌어 민주통일민주운동연합(민통련)을 창립했다.

1990년에는 현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재오 전 의원, 김문수 현 고용노동부 장관 등과 함께 민중당 창당에 앞장서면서 진보정당 운동을 시작했다. 이후 개혁신당, 한국사회민주당, 녹색사민당, 새정치연대 등을 창당했다.

하지만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15·16대 총선, 2002년 재보궐, 이어 17·19·21대까지 7차례 선거에서 모두 떨어졌다. 21대 총선에서는 현재 보수정당(현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후보로까지 옮겨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한평생 노동·시민운동에 헌신했음에도 결국 제도권 정계로는 진출하지 못해 ‘영원한 재야’라 불리었다.

최근 ‘신문명정책연구원’을 만들어 저술과 국회의원 특권 폐지 운동 등에 집중했다. 지난해부터는 특권폐지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로도 활동하며 국회의원의 면책·불체포특권 폐지, 정당 국고보조금 폐지, 국민소환제 도입 등을 주장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조무하 씨와 딸 하원, 보원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에 차려질 예정이며, 조문은 오후 2시부터다. 

 

#영원 #국회의원 #재야 #장기표 #별세

t © 강원도민일보

 

‘거리의 혁명가’ 장기표 별세

김윤덕 기자2024. 9. 23. 00:56

 

평생 불의에 맞서… 78세로 영면

2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 빈소에 조문객들이 조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모두가 행복하게 사는 세상을 위해 평생을 독재·불의·특권에 맞서 싸워온 ‘거리의 혁명가’ 장기표(78) 선생이 22일 오전 1시 35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영면했다. 민주화 운동의 동지이자 반려였던 아내 조무하 여사는 “살 만큼 살았고,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았다. 죽음을 받아들이는 건 생명을 가진 인간의 의무이자 순리. 그러니 울지 마라”는 고인의 마지막 말을 전했다.

 

194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난 장기표는 마산공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으나 전태일 열사의 분신을 계기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서울대생 내란 음모 사건을 시작으로 민청학련 사건, 청계피복노조 사건,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등으로 9년간 옥살이를 하고 12년간 수배 생활을 했다. 90년대 사회주의 붕괴 후 제도권으로 간 재야 동지들과 달리 “내가 추구하는 정치를 하겠다”며 7번의 창당과 낙선을 거듭했고, 지난 4월 총선 때 ‘특권폐지당’을 끝으로 정치 인생을 마무리했다. 억대의 민주화운동 보상금을 “파렴치한 짓”이라며 거부한 일화가 유명하다.

 

서울법대 선후배로 장기표와 민주화 투쟁을 했던 고(故) 조영래 변호사는 “세상이 다 취해도 홀로 깨어 있으려는 그 지나친 순수함이 그의 병이요, 죄”라고 했다. 전태일 어머니 고(故) 이소선 여사는 생전에 “기표는 내가 만난 사람 중 가장 진실하고 바르게 살려는 첫 사람이자 나에게는 영원한 스승이었다”고 했다.

 

유족으로 조 여사와 딸 하원, 보원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으로, 장례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26일, 장지는 이천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이다.

 

/김윤덕 선임기자

 ©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