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메모-박선원 필체’ 추정 보도 파문…與 “사실이면 내란” VS 朴 “만난 적 없다” 부인

2025. 2. 25. 03:26The Citing Articles

‘홍장원 메모-박선원 필체’ 추정 보도 파문…與 “사실이면 내란” VS 朴 “만난 적 없다” 부인

정충신 기자2025. 2. 25. 00:06

 

윤상현 “헌재는 필적감정 통해 진위 가려야”…김민전 “홍장원 지렁이 메모, 필체 숨기려는 의도”
박선원 유튜브 채널서 “홍장원 메모 제 글씨 아니다…홍장원체는 이어달리기체, 저는 독자기립형”

‘홍장원 메모’. 출처 유튜브 손상대TV2 방송화면 캡처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정치인 체포’ 관련 메모 가필에 대한 필적 감정 결과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필체로 추정된다는 보도 관련 진위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여당 위원들은 "사실이면 단순한 정치공작이 아니다. 이 자체가 헌법 유린이고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을 탄핵시키려고 한 내란행위"라며 검찰과 헌재에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관련 당사자인 박선원 의원은 "사실이 아니다"며 "홍 차장을 만난 적도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24일 SNS를 통해 "헌법재판소는 홍 전 1차장의 메모에 대한 가필이 본인이 쓴 것인지 필적감정을 통해 진위를 가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윤 의원은 "검찰도 가필이 박 의원의 필체와 동일하다는 의혹에 대해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면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돼 한 점의 의혹도 남겨서는 안된다"고 검찰 조사를 촉구했다.

 

앞서 미디어워치는 지난 18일 사설 문서전문감정기관인 ‘대진문서감정원’에 필적 감정을 의뢰한 결과 홍 전 차장 가필 메모의 글씨가 박선원 의원의 필적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이날 보도했다.

2월 18일 자신의 동선을 설명하기 위해 채널A에 들고나온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메모, 홍장원 친필일 것으로 추정된다. 채널A 캡처

 

같은당 김민전 의원도 SNS에 "홍장원이 지렁이 메모를 가지고 나왔을 때 생각했다"면서 "지렁이 메모는 탄핵으로 지친 국민들에게 웃음을 주려는 목적이 아니라, 자신의 필체를 숨기기 위한 것이란 생각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이미 자신이 가필했다는 메모가 있는데, 그 메모의 가필 필적과 다르면 거짓말이 들통 날테니.."라면서 홍 전 차장의 가필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주요 증거로 제시됐던 홍 전 차장의 메모의 가필 부분과 박 의원의 평소 필적이 담긴 메모를 감정인이 비교한 결과, 홍 전 차장 메모에 적힌 가필과 박 의원의 평소 메모 필적이 동일한 필적으로 추정된다고 결론을 냈다며 해당 감정서를 공개했다.

 

논란의 당사자인 박 의원은 이날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해당 의혹을 반박했다. 박 의원은 ‘홍장원 메모 글씨체가 박선원 글씨체’라는 주장에 "홍장원 메모에 있는 것은 제 글씨 아니다"라며 "홍장원체는 ‘이어달리기체’로, 글자가 이어달리기체다. 반면 제 것은 독자기립형이다. 단어 하나하나가 서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저 메모에 글씨를 쓰려면 (홍 전 차장을) 만난 적이 있어야 하는데 만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정충신 선임기자

© 문화일보. 

 

 

헌재판사들 공포감/결정적 증거, 민주당과 이재명, 망연자실

https://www.youtube.com/watch?v=5CFfSOgHGDM

 

 

Feb 25, 2025 #윤석열 #이재명 #탄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