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남산 / 배호 /돌아가는 삼각지

2025. 4. 3. 10:22Beautiful People

.

가수 배호 (裵湖)님이 1971년 11월 7일, 향년 29세로 이승을 떠나신지 어언  53년 세월 ...

 

그  53년 세월 뒤,

2025년 3월 26일, 작곡가 배상태 (裵相台) 님이 세상을 떠나가시니(향년 86세)...

 

배상태님이 작곡하고 배호님이 노래한 선율중,

유별  쓸쓸함과 외로움이 빗물처럼 촉촉히 젖어드는 멜로디가  있으니~...

비오는 남산 雨の南山 / 배호
이인선 작사, 배상태 작곡

비오는 남산 c 

 

1967년 6월 23일 원곡 취입,  넉달 후 가을 다시 재취입한 선율이다.

당시 배호 25세...

 

 

******************************************************************************************************************************************

 

🕊️ 작곡가 배상태 별세,

배호와 함께 시대를 노래한 멜로디의 거장

 

‘돌아가는 삼각지’부터 ‘안개 낀 장충단 공원’까지,

한국 가요사의 산증인

 

 배호가 불러서 히트한 《돌아가는 삼각지》, 《안개 낀 장충단 공원》 등 40여년 동안 모두 2천여곡을 작곡했다.

1967년 '비오는 남산' 

작곡가  배상태님

2025년 3월 26일, 지병인 패혈증과 만성신부전증으로 별세(향년 86세)

 

 

1️⃣ 인생의 서막 ― 경북 성주의 소년, 음악을 품다

 

1939년,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난 배상태(裵相台)는 성광중학교를 1회로 졸업했다.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천착하며 청소년기를 보냈다.


전후 한국의 황폐한 시기에 음악이라는 희망을 품은 그는  1956년 대구 KBS 전속가수로 활동하다 서라벌 전문대에서 작곡 공부를 했다.

🪕 당시 전속 가수 제도는 엄격한 체계였고,

단순한 '가창력'뿐만 아니라 무대 감각과 방송 적응력까지 요구되었다.

배상태는 이러한 시스템을 통과하며 음악적 역량을 갈고 닦는다.

 

2️⃣ 가수로 출발, 작곡가로 만개한 음악 인생 

 

가수로 출발했던 그가 작곡가로 전향한 계기는 1960년대 중반 해병대 군악대 복무 경험이었다.
군악대에서의 경험은 그에게 악기 구성, 편곡 감각, 앙상블의 이해 등 작곡가로서 필요한 음악적 토양을 제공해 주었다.

 

해병대 군악대 복무 시절 작곡발표회를 가졌고, 1963년 9월 송춘희씨를 통해 《송죽부인》을 발표하면서 작곡가로 공식 데뷔한다..


비로소 ‘배상태’라는 이름은 작사·작곡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3️⃣ 배호와의 운명적인 만남 ― 콤비의 탄생 

 

배호(裵湖, 1942년 4월 24일 ~ 1971년 11월 7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본관은 성주아명(兒名)은 배신웅(裵信雄)이며, 본명(本名, 호적명)은 배만금(裵晩今)이다. 1960년대 후반에 〈누가 울어〉, 〈돌아가는 삼각지〉, 〈안개 낀 장충단 공원〉등의 히트곡을 남겼다.

 

* 배상태는 배호의 삼종숙이다.

 

배상태의 인생에서 가장 결정적인 파트너는 바로 ‘가객’이라 불리던 배호였다.
그들의 만남은 한국 가요사의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 특히 ‘돌아가는 삼각지’는 그들의 인연을 대표하는 노래다.

 

 

배호 - 돌아가는 삼각지 

최초 녹음 원판. 1967년 3월 16일 

이인선 작사 배상태 작곡.

 

s

 

 

'돌아가는 삼각지'가 처음 작곡된 것은 1961년이었다고 한다. 작곡가 배상태가 군생활을 하던 중 휴가를 나와 어느 비 오던 날 서울역에서 혼자 술을 먹다가 악상이 떠올라 노래를 만들었다고.

 

이후 그는 가수 남진남일해에게 곡을 가져갔으나 바쁘다며 거절을 당하고, 가수 금호동에겐 구닥다리라는 혹평을 받았다고 한다. 우선 무명가수 김호성이 녹음을 했으나 작곡가의 마음에 들지 않았던 배상태는 궁전캬바레에서 드럼을 치던 자신의 먼 친척 배호를 떠올리고, 청량리 단칸방에 홀로 지내던 그를  찾아가 곡을 불러줄 것을 부탁한다.  

 

당시 건강이 악화된 배호는 앉은 상태에서, 쉬는 호흡을 곡 안에 끼워 넣겠다는 조건으로 녹음에 동의했다.

 

그  숨가쁜 쉼표 하나하나가 곡에 생명력을 불어넣었고,
결국 이 노래는 국민적 사랑을 받는 명곡으로 세상에 빛을 보게 된다.

 

 

 

비오는 남산 / 배호 / 전자올겐 / 경음악

https://www.youtube.com/watch?v=jEqyMEvMc3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