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9. 06:26ㆍLessons
"홍동백서 근거없어…차례 간소화 추진하겠다"
최영갑 성균관유도회장 간담회
"꼰대로 인식된 유교문화 바꿀 것"
최영갑 성균관유도회 회장
“설이나 추석만 되면 차례상 음식 준비로 스트레스를 겪는 여성이나 가족 간 불화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국민 고충을 풀어드리기 위해 다음 달 중순 차례 간소화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에는 기제사(忌祭祀)까지 간소화할 생각입니다.”
최영갑(59·사진) 신임 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 회장은 19일 취임식에 앞서 18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의례 간소화 등 유교 현대화 작업에 가장 중점을 둘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지난달 21일 전국 유림을 대표하는 유도회(儒道會)의 25대 회장으로 추대됐다. 유도회는 전국 17개 본부와 290여 개 지부로 구성돼 있고 도덕성 회복 운동이 주요 활동이다.
그는 “유교는 많은 국민들에게 ‘꼰대’ ‘고리타분한 이념’으로 인식돼 있고 연로한 남성 중심의 경직된 단체인 탓에 현대인에게 환영받지 못한 지도 오래됐다”며 “의례 간소화부터 시작해 점차 대중과 친밀한 유교를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특히 최 회장은 “유림조차 잘 알지 못하는 의식들이 마치 유교의 정통인 것처럼 행해지는 것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교 국가인 조선시대에도 관직 3품관 이상만 고조부모까지 4대를 제사 지내고 일반 서민들은 부모만 제사를 지냈는데 1984년 갑오경장으로 신분제도가 철폐되자 자신들의 가문을 내세우기 위해 너도나도 4대까지 제사를 지내는 풍토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또 조선시대에는 정승 집안이라도 제사상에는 밥과 국·술·과일·포 등 10개 안팎의 음식이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흔히 ‘홍동백서(紅東白西)’ ‘조율이시(棗栗梨枾)’ 등의 차례와 제례상 차림법은 유교 예법상 근거가 없다는 것이 최 회장의 설명이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대중과 친밀한 유교를 만들기 위해 남녀 차별을 타파하고 유교 경전을 한글화하는 작업도 검토 중이다. 유교의 성차별적인 규범도 원래 유교 경전에는 없었지만 이후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자의적으로 도입됐다는 것이 최 회장의 설명이다. 가령 맹자의 가르침에는 수평적 관계를 강조하는 ‘오륜(五倫)’만 있었는데 한나라 때 동중서가 수직적 관계를 내세운 ‘삼강(三綱)’을 새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사실 상차림 간소화 같은 것은 일반 국민들이 이미 하는데 유교가 뒤늦게 따라가는 것”이라며 “유교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고 하루빨리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경제
블로거 생각> :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조상님 영령을 추모하는 인사 차례.
예절[禮節]이란 예의(禮)에 관한 모든 절차(節) ,즉 예의와 범절이다.
예란, 마음의 본체(仁義禮智信) - 사람의 본 마음을 솟아나게 하는 것이다.
본마음을 찾으면 서로 사양하는 마음이 솟아나고, 사양하는 마음이 솟아나면 표정이 밝아지고, 표정이 밝아지면 오가는 말이 순해지고, 말이 순하면 행동거지가 신중해지니 비로소 예의가 제대로 지켜지게 된다 할 것이다.
진실된 마음을 절도 있게 잘 (포장)표현하는 것으로, 인간의 사회 생활에는 모든 상황마다 따르는 합리적인 행동규범이 있게 마련인 바- 소위 "예절"이다. 관혼상제 등 등 ...
祭禮.
산 자- 후손의 인간다운 정신이요 마음의 발로이다.
돌아가신 선조님 가신 날을 후손된자 기억하고 기리는 것은 원초적인 인간다움이다.
- 후손의 삶을 보고 드리고 선조님의 유훈을 기리며 은공에 감사하는 마음의 인사치례다.
영령을 모시고 추모하는 몸과 마음 가짐 아니겠는가.
- 조상님 맞을 준비로 집 주변 정결히 하고 몸도 마음도 깨끗이 한다.
-제물은 간소하게 정성껏 마련한다. 선조가 좋아하시던 음식이면 더 좋을 일이다.
-제상은 가장 정중한 곳에 차리되 살아계신 어른께 올리는 상의 모습이면 무난할 것이다.
-제례는 영령을 맞아 들이는 인사, 맑은 술 올리고 추모하기(추념), 보내드리는 인사 의 형식으로 치른다.
* 제례후 후손들은 음복을 하면서 소식을 주고받으며 혈족친의 우애를 돈독히 한다.
효성 지극한 자손.후손의 마음이면
그 마음에는 아름다운 제물과 제상과 제례의 모습이 형상화 될 것이라 믿는다.
그것이 가장 적당한 제례의 모습이 되리라 믿는다.
집안의 전통과 사회 일반의 보편적인 의식례도 존중함이 사람 사는 세상, 겸손한 자세 아니겠나.
'Less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바로 그 국민입니다 (0) | 2024.06.29 |
---|---|
'과학자 병풍',누리호에 숟가락 얹기 (0) | 2024.06.29 |
통도사(通道士)의 할(喝)~! (0) | 2024.06.29 |
냄새가 진동합니다 (0) | 2024.06.29 |
심상정의 뼈아픈 후회 (0)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