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v and Arts(46)
-
동리목월[東里木月]문학관
동리목월[東里木月]문학관 김동리와 박목월(본명 박영종)은 대구 계성중학교 선후배(2년) 사이고 절친한 친구 사이로 한국의 대표적 작가이고 국민시인이다. 김동리의 "을화"는 노벨상의 문학상 수상후보본선에 오르기도 하였으며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박목월은 경남고성에서 태어나 100일에 공무원인 아버지를 따라 경주로 옮겨서 자랐다.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양대 문리대학장을 지냈다. 김동리 작가의 아들 김평우는 경기고, 서울대 법대를 나와 판사,45대 대한변호사 협회장을 지냈고, 김동리는 한때 경남 사천에서 지내기도 했다.(계성학교는 3학년까지 재학후 서울 경신학교로 편입하였으나 중퇴) 경주 토함산 자락동리목월문학관 소설가 김동리, 시인 박목월 문학관.경북 경주시 불국로 406-3 (경주시 진현..
2024.06.12 -
청록파 시인 박목월의 이야기
청록파 시인 박목월의 이야기 2008.11.12 08:44시인 박목월의 아들, 박동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말하는 아버지의 의미.“너희들은 무턱대고 즐겁고 행복해야 한다. 그것이 아버지의 노고에 대한 너희들이 내게 베푸는 '즐거운 보답'이다” (박목월 시인)향토적 서정을 간결하고 선명하게 노래한 청록파 시인 박목월. 그 역시 자녀에게 자상한 아버지였다. 아이들이 기타를 쳐보이자 누구 하나가 상처를 받을까 똑같이 100점을 줬고 대학 진학을 고민하던 박동규 교수에게 “책도 함께 쓸 수 있고 내가 너의 장래를 위해 올바른 충고도 할 수 있으니까”하며 국문학을 권해줬던 아버지…박동규 교수가 추억하는 시인 박목월의 삶,,,,출처 : 투데이코리아(http://www.todaykorea.co.kr) ❤..
2024.06.12 -
청록파 시인 조지훈, 고려대 사직서
청록파 시인 조지훈, 고려대 사직서 고려대 ‘청록파 시인’ 조지훈 한일협정 당시 사직서 공개 입력2020-11-17 16:48:43 수정 2020.11.17 17:11:38서울경제 한민구 기자 “나를 제물로 요구하고 있어…학생들 위한 최선 방도” 조지훈이 쓴 ‘사퇴이유서’‘청록파 시인’으로 잘 알려진 조지훈(본명 조동탁)이 고려대 재직 시절인 1965년 한일협정 반대시위로 휴업령이 내려지자 쓴 ‘사퇴 이유서’가 공개됐다.17일 고려대가 공개한 사퇴 이유서를 보면 조지훈은 “고려대에 내리워진 휴업령의 철회가 본인을 제물로 요구하고 있음을 알기 때문에 학생들로 하여금 하루빨리 공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본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도”라고 썼다. 또 “고려대에 재직한 만 18년 동안 본인은 미력이나마 기..
2024.06.12 -
정읍사(井邑詞)
정읍사(井邑詞) ▲ 정읍사공원의 두 손을 모으고 기다리는 망부상 정읍사공원(井邑詞公園) 양규창(시인. 전라북도문학관 사무국장) 전북은 예로부터 문맥(文脈)의 고장이요, 한국문학사의 본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운산가(禪雲山歌), 무등산가(無等山歌), 방등산가(方登山歌), 정읍사(井邑詞), 지리산가(智異山歌) 등 5곡의 백제가요가 있으며, 오직 '정읍사'만이 지금 남아 있다. '정읍사'를 시작으 양규창시인의 '전라북도 문학비 이야기'를소개한다. 전주를 출발해 칠보를 지나니 눈발이 날린다. 칠보산 고갯길이 위험할 지 모르니 요즘 땅콩 회항 하듯 돌아설까 하다 을미년 첫 만남을 기약하고 눈 속에 기다리고 서있을 그녀를 생각하니 기력을 다한 애마가 다시 거친 숨을 몰아쉰다. 정초부터 손에 땀을 쥐며 도..
2024.06.12 -
댄서의 純情 / 朴信子
댄서의 純情 / 朴信子 인용 출처 돌의 콩트/수필/기타 바른 말이지만, 우리나라는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여성이 노예와 같은 삶을 살던 왕정 봉건사회였습니다. 결코 먼 옛날이 아닙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이 되고 미 군정에 이어 이승만 정권에 의한 민주주의가 실시됨으로써, 전쟁을 거친 가난과 기아 속에서도 자유의 물결이 전국을 휩쓰는 듯 하였습니다. 그러한 자유의 물결 속에 등장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댄스라 일컬어지던 사교춤이었습니다. 사교춤은 정말 매력이 만점이었습니다. 안 추어본 분은 정녕코 이해할 수 없습니다. 황홀한 네온 속에서 느리고 빠른 음악에 맞추어 블루스, 탱고, 지르박, 트롯트... 슬로우 퀵~, 리버스 턴, 체인지... 남성은 이끌고 여성은 품에 안기어 돌아갈 때면 ..
2024.06.11 -
1956년영화 '자유부인' 김정림(金靜林)
1956년영화 '자유부인' 김정림(金靜林)정비석의 소설 을 영화한 1956년영화 '자유부인' 당시 발행부수 최저를 기록하던 서울신문은 댄스를 소재로 한 정비석의 을 연재함으로서 국내 최고의 발행부수로 올라서게 되었다. 자유부인(1956년)감독: 한형모박 암, 김정림, 노경희, 주선태, 김동원,고향미, 양미희, 이 민, 안나영, 고선애,방수만, 최남현, 연 영, 배선희, 신 미, 윤금자 줄거리 성실한 대학교수 부인 오선영(김정림)은 화교회라는 모임에 나가면서 춤바람이 난다.선영의 탈선행위는 아들과 장교수의 행색을 초라하게 하고 이를 눈치 챈 은미는 교수를 동정한다. 자신의 잘못은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선영은 은미와 장교수의 관계를 의심해 장교수를 추궁한다.선영의 탈선은 계속되어 외간 남자와 호텔까지 가지..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