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42)
-
이현(李玄), 그리운 어머니
1950년 9월 15일생인 그가1970년 4월 19세의 나이에 박춘석 작사.작곡 '내사랑 지금 어디'로 데뷔하여1970년 데뷔 첫 해에, '내 사랑 지금 어디'와 '첫사랑의 왈츠'로 TBC 방송가요대상 남자신인상을 수상했다.1975년말, 인기 절정의 25세 한창 나이에,,, 짧은 5년간의 활동을 접고 홀연히 사라진 그... 45년 세월이 흘러간 2020년, 어언 칠순의 고희에, 가수로 복귀한 1970년대 하이틴 스타 이현(李玄).. 고희에 복귀한 이현의 신곡2020.1멋지게 살아 갈거야 --장욱조 작사.작곡누가 주고 갔나요 - 김상만 작사 장욱조 작곡 이현은 1950년 9월 7일 임시수도 부산에서 태어났지만 생일을 축하할 수가 없었다.이현이 출생하고 어머니는 바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2024.06.12 -
어떤 '슬픈 幸福'
아무리 '슬픈 운명'이라 하더라도 ~ 초대 연합참모총장. 前 육군참모총장 이형근 장군의 아들초대 육군 참모총장 이응준 장군의 외손자 1970년대의 아이돌 ...가수 이현 [ 李玄, 본명 이헌(李憲) ] 군번 1번(10001)’인 이현의 부친 이형근(李亨根) 장군과 가수 이현(본명 이헌 李憲 ). ****************************이현 [李玄], 본명 이헌 [李憲 1950~ ]-가수, 실업인.본관 공주(公州). 1950년 9월 15일 임시수도 부산에서 출생. 어머니 이혜란(李惠蘭)은 임신중독으로 이현 출산직후 사망.* 이형근(李亨根) 장군의 둘째아들. * 이상근(李尙根) 장군의 조카. *이응준(李應俊)장군의 외손자-현재 화인통신(주) 회장. 이갑 [李甲/1877~1917] 독..
2024.06.12 -
Maria Callas '세기의 디바' 기구한 삶
엄마는 성매매 요구, 연인은 강제 성관계…'세기의 디바' 기구한 삶류지미 2022. 8. 13. 17:36엄마는 성매매 요구, 연인은 강제 성관계…'세기의 디바' 기구한 삶 [중앙일보] 입력 2021.04.13 13:12 수정 2021.04.13 15:36 마리아 칼라스의 삶을 담은 다큐멘터리 ‘마리아 칼라스: 세기의 디바’의 한 장면. [사진 영화사 진진]전설적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이 “오페라 가수의 정석”으로 칭송했던 프리마돈나, 마리아 칼라스(1923~1977). 무대 위에선 화려한 디바였지만 무대 아래에선 기구한 삶을 살았던 그를 조명하는 신간이 화제다. 공개되지 않았던 칼라스의 일기와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토대로 역사학자 린지 스펜스가 6월 1일 출간 예정인 『마리아 칼라스의 숨겨진 삶』..
2024.06.12 -
봄비
봄비 Rhythm Of the Rain by The Cascadeshttps://www.youtube.com/watch?v=iczdtVWaSHE Listen to the rhythm of the falling rainTelling me just what a fool I've beenI wish that it would go and let me cry in vainAnd let me be alone againThe only girl I care about has gone awayLooking for a brand new startBut little does she knowThat when she left that dayAlong with her she took my heartRain please tell..
2024.06.12 -
청록파 시인 박두진(朴斗鎭)
청록파 시인 박두진(朴斗鎭)혜산(兮山) 박두진(朴斗鎭) 박두진(朴斗鎭, 1916년 3월 10일 ~ 1998년 9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본관은 밀양이고 호는 혜산(兮山)이며, 경기도안성군읍내면 봉남리(현안성시봉남동)에서출생하여 한때 경상북도 경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경상남도 밀양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다. 생 애경성사범학교 졸업서울 우석대학교(現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교수로 있다가 1960년 4·19 당시 학원분규로 물러나게 된다. 그 뒤 우석대학(후에 고려대학교와 합병)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서 1972년 다시 연세대학교 교수로 돌아와 근무하다가 1981년 정년 퇴임했다. 이후 말년까지 단국대학 초빙교수(1981∼1985)와 추계예술대학..
2024.06.12 -
동리(東里) 김창귀(金昌貴)
김창귀(金昌貴)시종(始鐘), 동리(東里) 본관은 선산(善山). 호적명이 김창귀(金昌貴), 족보명은 김태창(金太昌), 아명(兒名)은 창봉(昌鳳). 자는 시종(始鍾), 호는 동리(東里). 경상북도 경주 출생. 조선 초기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17대 손으로 아버지는 김임수(金壬守)이다. 동리에게 아버지와 같은 존재인 큰형은 동양철학자 범부(凡父) 김기봉(金基鳳)이며, ‘동리’라는 호는 그가 지어준 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5남매의 막내로 태어난 동리는 어머니가 기독교인이었던 관계로, 기독교 계통의 학교에서만 수학하였다. 경주 제일교회 소속의 계남소학교와 대구의 계성중학교 및 서울로 편입한 경신중학교 모두 기독교 계통의 학교이다. 하지만 그의 학창 생활은 17세 되던 1929년 경신중학교를 중퇴하고 낙향하..
2024.06.12